대학상징 UI

- 연두색은 청춘과 풍요를 상징하는 녹색에 희망과 향상을 상징하는 노란색이 합해졌으므로 한란(寒暖)의 조화와 갖가지 희망적인 의미가 상징되는 색이다.
- 원넓고 둥근 우주를 상징하면서, 모나지 않은 원만상(圓滿相_을 나타내는 것으로 큰 뜻을 갖고 원만한 人格을 도야하는 배움터를 표현했다.
- 벼는 학교 소재지인 풍향(豊鄕)과 깊은 관계를 가진 곡식으로서, 특히 고개를 숙이고 있는 알곡의 모습을 토하여 지성과 덕성이 함양된 인재를 양성하는 터임을 나타내고 있다.
- ㄱ은 국립대학과 광주교대의 첫 字母로서 그 형상이 발전지향적인 것이 특징이다.
- ㄷ은 대학의 첫 字母로서 그 형상이 포괄상(包括相)을 보여주어 특히 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으로서의 모든 것을 포옹하는 사도(師道)를 상징한 것이다.
- 1923은 광주교육대학교의 전신(前身)인 전라남도공립사범학교 설립연도이다.
학교 상징물
- 향나무
- 측백나무과의 상록침엽 수목으로 산록,평지의 토양 깊은 곳에 나며, 조각재, 가구재, 향료 및 약용으로 쓴다. 본 대학 본관 앞을 비롯하여 곳곳에 높이 자라고 있어 교목으로 정하였으며, 높은이상, 푸른 꿈 속에 내일이 촉망되는 훌륭한 스승이 될 상징목이다.
- 철쭉
- 주로 정원수로 심는데 나무는 조각재로 쓰인다.본대학 정원수 중 가장 많은 분포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, 그 종류도 다양하여 5-6월이면 대학 전체가 철쭉꽃 동산을 이룰 만큼 대장관을 이룬다. 우아하고 개성미 넘치는 훌륭한 인재들의 보금자리가 되는 상징화이다.
- 소
- 농사에는 없어서는 안될 존재가 소였다. 더욱이 본대학은 풍향골 1번지에 자리잡고있어 소를 교수(敎獸)로 정하였다. 우리 한국소(Korean cattle)는 체질이 강건하여 추위나 더위를 잘 이기며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강하다. 역용(力用)능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온순하다. 의젓하고 교육적 신념이 투철한 한국인의 스승을 상징할 만한 짐승이다.
- 까치
- 예부터 우리나라에서는 까치가 울면 기쁜 소식을 듣는다 하여 길조(吉鳥)로알려져 있으며 민가 근처에 사는 사람과 친근한 새로 한국의 나라새(Korean magpie)로 정하자는 일도 있었다. 교문자체가 새의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장차 본 대학교 출신이 일선 학교로나갈 때 기쁨을 안겨준다는 상징조이다.
- 연두색
- 노란빛을 띠는 녹색으로 청춘과 풍요를 상징하는 녹색에, 희망과 향상을 상징하는 노란빛이 합해졌으므로, 한란의 조화와 갖가지 희망적인 의미가 상징되는 색이다. 특히 본 대학교는 풍향골에 터잡아 풍요를 상징하면서 희망을 내포한 연두색으로 교색을 정한 것이다.